일주론

60간지 : 일주론>8. 을묘일주

48self-study 2025. 4. 22. 22:01

*궁성론 - 일지 자리 의미 : 배우자궁 / 직업, 적성 / 건강

             - 을묘일주에서 일지(배우자궁) 비견이라 배우자운 약함. 배우자가 아프거나 부부갈등, 결혼생활 굴곡(비겁이 재성을 극함- 쟁재)

             - 일지 비견 : 배우자가 독립적이다 / 주말부부가 길함

 

       간지 >


- 사고와 행동 유연, 공감/측은지심, 적응력
-외유내강(겉으로 부드러우나 속으로 꼿꼿 / 청순하고 순진한 인상) 
-간여지동이지만 강하지않고 유연하고 합리적임 (cf.갑인 : 강해보임)
-섬세하고 예술적인 취향 or 예술가 직업(음악,화가,사진가 등)
지장간
초기 : 甲 겁재
정기 : 乙 비견

- 지지 비견 + 건록 = 절제력 / 역지사지 : 타인배려,고려 (웰 밸런스드) 
>보통 간여지동은 남의 입장 고려안함(cf. 기미 : 아집)
십이운성 건록 -건록지 : 을목 오행 특성상 겉으로는 부드러움(유연함)
-비견 + 건록지 : 박학다식 / 언변이 뛰어남
*일지건록 = 전록 (한 분야의 전문성, 전공으로 먹고삶)
신살 - -
공망 子(편인) / 丑(편재)
특징 - 측은지심/공감능력 : 을목 특성이 지지까지 뿌리 내림 (약점이 됨 / 잘못된 배우자 선택)
- 자신은 검소/소박함 : 끼있고 화려한 배우자 선호(병화 / 갑목 동경)
- 외유내강 : 독불장군의 극단성. (cf.갑인 : 겉으로만 쎼보임)
- 생활력 / 비의존성, 독립심
- 음간 비견 + 건록 = 지치지않고 잘 버팀(지구력은 없음)
- 목표 분명 : 성취도 높음
- 목표 상실 : 가족불화 조성 및 힘의 오용(목표를 설정하는게 중요)
- 환경 적응력(을축보다 뛰어남) : 악바리 근성(기본빵)
- 묘목 : 고집 / 자존심 / 변덕 / 의존성
- 귀인의 조력 : 등라계갑 (월간/시간에 갑목 있을 경우)
- 남명 : 배우자 마당발(정재 + 목욕지) *목욕: 사교성, 친근
- 일지 비겁(제왕)-군겁쟁재 : 정재와 싸움(배우자의 다른점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지혜)
- 시댁과 거리두기 중요 / 주말부부가 길함

- 부친의 영향력 미미
- 재복(행운) : 일지삼합-묘 왕지가 해묘미를 끌고다님(기분파 : 돈을 잘씀)
단점
- 실속없는 베품 / 배신을 잘 당함 : 자기확신이 강함, 경계심이 낮음
- 약자를 돕다가 상처
- 성과의 가로챔의 문제 
- 너무 신강하면 : 이상주의 추구 -> 현실감 부족

- 무재 / 무관 : 천상천하 유아독존(독선과 고독)
- 등라계갑 : 큰 성취 그러나 눈에 띄어 스캔들&구설수 문제
- 을을묘묘병존 / 지지에 인,묘목 혼잡 / 목기운 강할때 : 고립, 외톨이(배우자 운이 없음) / 하체 질병 많음(소아마비)
- 겁재 + 제왕 : 형제간 재산분쟁
- 모친 스마트 : 지나친 사랑과 집착의 위험

<을목 기준으로 본 십이운성>

*궁법 : 일간기준  (만세력 하단에 12운성이 적혀있음, 해당 일간 을목 기준으로 12운성을 파악할 수 있음)

- 만세력을 보세요.

<묘목 기준으로 본 십이운성>

*인종법 : 지장간에 없는 천간오행을 일지의 천간에 대입하여 추론 및 감명에 활용 (십이운성은 묘목 기준으로, 십성은 을목 기준으로 봄)

- 묘목의 인종법 대표 예시는 아래 5가지 사례

 

1. 묘목 + 갑목 = 12운성 : 제왕 / 십신 : 겁재

갑목 : 겁재
십이운성 : 제왕 지

 
제왕 지> 귀인의 조력 : 등라계갑 
- 갑목투간 : 대인관계 복잡 / 스캔들, 구설수 문제

 

2. 묘목 +  정화 = 12운성 : 병지 / 십신 : 식신

정화 : 식신
십이운성 : 병 

 
병 지>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자녀, 효자효녀
-이성에게 인기 : 스캔들
  *병지 : 주목,사랑,인기,역마

 

3. 묘목 + 기토 = 12운성 : 병 지 / 십신 : 편재

기토 : 편재
십이운성 : 병 지

 
병 지> 이성에게 인기, 불필요한 스캔들&구설수 문제
 *병지 : 주목,사랑, 역마
-동분서주/ 이일 저일로 돈벌음.
-군겁쟁재 : 지인/형제에게 투자 손실(재물운이 불안정)

 

4. 묘목 + 신금 = 12운성 : 절 지 / 십신 : 편관

신금 : 편관
십이운성 : 절 지

 
절 지> 관 + 절지 : 이직의 빈번, 직장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짐
*절 : 전환, 시작, 가능성

 

5. 묘목 + 계수 = 12운성 : 장생 / 십신 : 편인

계수 : 편인
십이운성 : 장생 지

 
 장생 지> 편인 + 장생 = 공부중요(가방끈), 모친의 역할 중요

 

6. 을목 공통 적용
  1) 회정포병 : 을목 + 천간(정화 or 병화) VS. 지지(유금 / 신금) - 을목의 유연성과 생명력

  2) 허습지지(겨울철의 을목=해자축 월지) = 등라계갑 + 병/정화 필요

  3) 등라계갑 : 갑목 투간시 귀인의 조력